캐나다 공교육 3편 (미국명문대 진학의 명암) "한국 학생들은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 공부합니다" (세계은행 김용 총재)"3시간 공부하면서 어떻게 그렇게 성적이 좋죠?" (IMF 라가르드 총재)"오전 11시가 아니고 오후 11시까지입니다" (김용 총재)2018/10/10 - [캐나다 교육정보] - 캐나다 공교육 1편 (새로 시작하면서)2018/10/25 - [캐나다 교육정보] - 캐나다 공교육 2편 (PISA, TIMSS의 재평가) 온타리오에 살던 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로, 주변에서 만나는 우수한 캐나다학생들이 미국 명문대에 진학했다는 얘기는 거의 듣지 못한다. 왜 캐나다인들은 미국대학을 선호하지 않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개인적으로 적어본다. 1. 대학이 목표가 아니다.대학입학에 목표를 두는 캐나다인은 없다. 세계적 명문대로 꼽히는 토론토대학.. 더보기 캐나다 공교육 2편 (PISA, TIMSS의 재평가) "When it comes to cognitive outcomes, Korea is doing very well. It can still improve in developing social and emotional qualities." -Andreas Schliecher 한국 교육제도가 바로 한국 경제발전의 궁극적 원인임은 부정할수 없으며, 우수한 교육제도의 바탕위에서 고속압축성장을 일궈낼수 있었던 것은 한국인의 상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지적 결과치로 본다면 한국교육이 우수한 것은 맞으나 사회적인, 그리고 감성적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2018/10/10 - [캐나다 교육정보] - 캐나다 공교육 1편 (새로 시작하면서) 세계 각 나라의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여 교육정책에 객관적 지표..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66 다음